제목 | 답변완료 예제 7.10 p.100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양진목 |
과목 | 회로이론 | 강좌명 | |
작성자 | 서*우 (e******9) | 등록일 | 2023-10-18 12:05 |
스위치가 닫힌 순간에 회로에 저장된 에너지가 없다는 말이 0+시점에서 에너지가 없다는 말 아닌가요? 그렇다면 0-에선 왜 에너지가 0인지 모르겠습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양진목입니다.
질문하신 부분은 개인적인 언어감각의 차이로 처음 받아들일 때 여러가지로 해석이 가능한 부분이라서 절대적으로 무엇이 맞고 무엇이 틀리다의 일도양단적인 것인 관점에서 접근할 내용은 아니고 스위칭이 발생하는 회로라는 맥락에서는 이걸 이렇게 처리하는구나라고 그냥 받아들이시고 아래의 설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문제의 워딩을 보면 `닫힌` 순간이 아니고 `닫히는` 순간이라고 하였는데요 `닫힌`은 의미상 스위치이동이 완료된 것으로 해석할 여지가 많지만 `닫히는`은 아직 스위칭이동이 진행중이라는 의미가 큽니다. 그리고 회로에서 스위칭은 순간적으로 발생( a단자에서 b단자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전혀 없다.)고 가정하므로 `닫히는`이라는 워딩에서는 t=0+보다는 t=0-로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즉, 스위칭 직후)
원문도 동작의 완료를 뜻하는 has been closed가 아니라 `at the time the switch is closed.`로 단순과거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t=0-에서 에너지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무엇보다 해당 문제는 인덕터전류에 관한 것인데요 t=0-에서 스위치가 열려있고 그에 따라 Leq에 흐르는 전류가 0A이므로 t=0-에서 인덕터의 저장에너지가 0J입니다. 그리고 인덕터전류의 연속성에 의해서 t=0-, t=0, t=0+에서의 전류값이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t=0+에서의 에너지도 0J입니다. 즉, 해당 문제는 t=0-냐 t=0+냐를 구분하는 실익이 없고 그냥 t=0에서 에너지가 0J이라고 해도 됩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안녕히계세요.
- 2023-10-19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