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교재 예제 7.6에 관한 질문했던 학생입니다.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양진목 |
과목 | 회로이론 | 강좌명 | |
작성자 | 김*욱 (k******3) | 등록일 | 2023-10-12 17:36 |
첨부파일 | |||
우선 제가 이 예제에 대한 질문을 자세하게 답변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그러나 제가 초기에 이 예제에 대한 질문을 드린 이유는 선생님께서 14강 24분 39초부터 이 7.6 예제를 풀어주시는 강의영상의 풀이과정에 대한 질문이었습니다.
제가 첨부한 파일은 해당 예제를 풀어주시는 14강 에서 28:31초의 수업을 캡쳐한 사진입니다. 보시면 교수님께서는 t = 0-(직류정상상태)의 회로를 우측에 그리셨습니다.
해당 강의에서 교수님은 교재의 해설은 전원변환을 이용해서 풀었지만 테브난 등가회로를 통해서 구해보겠다고 하셨습니다.
과정을 살펴보면 2옴에서 오른쪽으로 바라보았을때 테브난 등가회로를 구하셨습니다. KCL 적용결과 Vt = 8it -60 이라는 식이 나왔으며 Rth가 8, Vth가 -60임을 구하셨습니다.
여기서 제가 이해가 안되는부분은 Vth가 -60인걸 구했는데 왜 t = 0-(직류정상상태) 의 회로를 그리셨을때 우측 전압원에 -60V이 아닌 60V인지에 대한 부분입니다. Vth가 -60이므로 t = 0-(직류정상상태)에서의 회로에서 우측 전압원이 -60V이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왜 60V인지에 대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양진목입니다.
제가 강의 중에 그림 그리다가 잘못 그린 부분이 있는것 같은데요
전압원의 극성이 +-이고 크기가 1V인 것은 극성이 -+이고 크기가 -1V인 것과 같습니다.(닐슨요약집 3페이지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래서 해당 문제에서도 위의 내용을 그대로 적용한 것입니다.(아래 사진을 참고해주세요.)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안녕히계세요.
- 2023-10-15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