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일반물리학] [특강] 일반물리학1 문제풀이 (1학기 중간고사 대비)/7강 물체군의 운동법칙 적용/31번 해설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이정욱 |
과목 | 일반물리학 | 강좌명 | |
작성자 | 정*유 (j*******0) | 등록일 | 2023-04-11 21:59 |
저는 다음과 같이 풀었는데 왜 저처럼 풀면 안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해설지가 이해가 안갑니다. (1) 내려갈때의 가속도가 -6m/s^2이란걸 어떻게 구한것인지 (2) 6-6t1=0 의 의미가 뭔지 (3)1/2*2 t 2 2 가 어디서 나온건지 (좌변은 vt +1/2vt^2 으로 나온것같음 )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네~
(1) 내려갈 때, 가속도는 운동방정식을 통해 구할 수 있습니다.
A에는 중력의 수평성분과, 장력, 마찰력이 작용하고,
B에는 중력과 장력이 작용하지요.
위 두 물체계를 하나의 입자로 간주하고 운동방정식을 세우면 다음과 같습니다.
(빗면 아랫방향을 + 방향으로 가정할 때
60sin30˚ -uk 60cos30˚ -90 = (6+9)a → -90=15a 에서 가속도의 방향은 빗면 윗방향이고, 크기가 6m/s2
임을 알 수 있습니다.
(2) 초속도가 6m/s이고, 내려가는 동안 -6m/s2 으로 가속되므로..멈출때까지 걸린 시간을 t1 이라고 한 것입니다.
(3) 멈춘 상태에서 다시 가속운동하면 속력이 증가하는 등가속도 운동을 하게 됩니다. 이때 운동마찰력이 내려갈 때와 반대방햐이므로 가속도의 크기는 2m/s2
이 되고...내려갈 때와 올라갈 때 변위의 크기가 동일할 때까지 걸린 시간을 구하면..t2 라 한 것입니다.
총 왕복시간은 위으 t1과 t2를 더한 값이 되는 것이지요!
- 2023-04-14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