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일반물리학] [특강] 일반물리학1 문제풀이 (1학기 중간고사 대비)/ 7강 물체군의 운동법칙 적용/ 09:57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이정욱 |
과목 | 일반물리학 | 강좌명 | |
작성자 | 정*유 (j*******0) | 등록일 | 2023-04-11 18:11 |
23번의 (2)를 다음과 같이 생각하면 안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이*욱
교수님
네~
마찰계수는 수직항력과 마찰력사이의 비율이자..연직선에 대한 기울기를 의미합니다.
이때, 힘의 기울기에 해당하는 마찰계수가 (π/2)보다 작습니다.
이는…특정각에서 F가 증가할 수록 수평방향힘 Fcosθ 성분도 증가하지만 연직성분인 Fsinθ 도 커진다.
연직성분이 증가하면 수직항력은 크기가 증가하므로 최대정지 마찰력도 증가하게 되는…즉 힘이 힘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나타나게 됩니다.
정리하면…(π/2) 보다 작은 각에서 F를 엄청크게 증가시키면 덩달아 항력(마찰력+수직항력)이 같이 증가하는 지점이 있게 됩니다.
그걸 수학적으로 표현한 것이 강의에서 다룬 내용입니다.
- 2023-04-13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