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학습 Q&A

강의 내용 궁금증! 교수님이 직접 답변 드립니다.

  • 홈
  • 교수소개
  • 자연계열
  • Patrick 교수님
  • 학습 Q&A

Q&A 메뉴.png

※ 유의사항
강의에 나오지 않는 내용에 대한 풀이나 해설은 답변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학습과 무관한 내용 및 비방/욕설 등 게시판 성격과 무관한 내용은 사전 고지없이 삭제됩니다.
답변 완료된 게시글은 수정 및 삭제 불가합니다.

porsche_03.png

게시판 글보기
제목 답변완료 [단숨에 이해되는 일반생물학I] 제47장 동물의 발생 1:08:58
질문유형 강좌내용 교수님 Patrick
과목 일반생물학 강좌명
작성자 김*길 (c******e) 등록일 2022-12-05 23:24

축형성 과정의 예시에서 cortical rotation과 grey crescent 등과 같은 것들은 올챙이에서만 적용되는 것인지 아니면 인간에게도 적용되는 것인지요

헷갈리는게 47장 초반에 배운 blastpore가 만들어지는 과정과 내,중,외배엽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후에 인간의 epiblast로부터 내중외배엽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맞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요. 지금 올챙이부터 인간의 배발생이 섞여있어 무척 혼란스럽습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댓글
0
P*****k 교수님

 

기본적으로 척추 동물은 수정, 난할, 포배, 낭배, 기관 형성이라고 하는 매우 유사한 배 발생 과정을 공유하고요. 그 중에서도 포유동물은 더 그러하답니다. 따라서 이러한 배발생 과정의 공통성은 공통 조상으로 모든 생명체가 진화되었다는 강력한 증거에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인간의 배 발생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나중에 태아가 될 수 있는 배아를 희생시켜야 한다는 윤리적인 문제 때문에, 올챙이, 성게, 닭과 같은 다양한 모델 생물 (model animal)의 배 발생 과정을 비교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비교 과정을 통해서 배 발생 과정의 공통성과 함께 차이점도 분명 존재한다는것이 명확해져요, 이러한 차이점의 원인은, 질문한 인간과 올챙이의 예처럼, 체외 발생을 하느냐, 아니면 태반을 이용해서 체내 발생을 하느냐와 같은 모체와의 물질 교환 방식과 같은 근본적인 차이점에 기인하게 됩니다. 

 

인간의 epiblast는 태반 형성과 이 이후의 배 발생 과정 등을 보증하기 위해서 필요한 구조이고, 올챙이는 태반 형성이 필요 없기에 이러한 구조를 관찰할 수 없는 것이에요. 

 

기본적인 배 발생 과정의 공통된 틀에 각 모텔 생물의 차이점을 그 원인과 함께 개별적으로 대입하게 되면 혼란이 금방 해결되리라 생각됩니다.

 

열심히 공부하세요~   

  • 2022-12-13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