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 준비중 [일반생물학1] 35강 26분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Patrick |
과목 | 일반생물학 | 강좌명 | |
작성자 | 김*진 (o*******8) | 등록일 | 2022-04-23 23:51 |
이건 고등학생때부터 궁금했는데 아직 의문이 안풀렸던겁니다.
고등학교 때 배웠던 것을 되살려보면 혈액의 구성성분으로 혈장 / 혈구 로 나누고
혈구에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있다.
이 때 백혈구에는 호중구 호산구 림프구 등이 있다. 이렇게 배우는데
그리고 강의 앞부분에서 배운것을 합쳐보면
체액의 3가지에서 혈액이 interstitial fluid 이 되고 lymph fluid 로 가는것까진 알겠습니다.
그럼 어짜피 혈액 내 세포가 전부다 림프관으로 가면 림프액의 세포인 것이고 그렇게 따지면 호중구 호산구들도 림프관으로 들어가면
전부다 림프액에 있는 세포니까 림프구인데 특별히 일부 세포들을 림프구라고 이름붙인 것이 이상해서요..
저는 체액이 있는 위치에 따라 이름을 다르게 부르는줄 알았는데 림프구는 혈관 내에 있어도 림프구이고 림프절에 있어도 림프구에요?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