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학습 Q&A

강의 내용 궁금증! 교수님이 직접 답변 드립니다.

  • 홈
  • 교수소개
  • 자연계열
  • Patrick 교수님
  • 학습 Q&A

Q&A 메뉴.png

※ 유의사항
강의에 나오지 않는 내용에 대한 풀이나 해설은 답변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학습과 무관한 내용 및 비방/욕설 등 게시판 성격과 무관한 내용은 사전 고지없이 삭제됩니다.
답변 완료된 게시글은 수정 및 삭제 불가합니다.

porsche_03.png

게시판 글보기
제목 답변완료 [단숨에 이해되는 캠벨 일반생물학 Ⅰ] 1강 3역 5계
질문유형 강좌내용 교수님 Patrick
과목 일반생물학 강좌명
작성자 변*민 (b*****3) 등록일 2022-01-14 01:05
첨부파일

교수님, 어원을 알려주시면서 내용을 설명해주시는 수업 방식 덕분에 원서로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아직 많은 수업 영상을 보지는 않았지만, 이전에 공부했던 내용들이 하나의 흐름을 찾아가는 것 같아 좋은 강의라고 생각이 듭니다.

1강을 듣던 중 마지막 부분에 의문이 드는 점이 있었는데요 3 domains 5 kingdoms 라는 표현이었습니다.

3역 5계 라는 표현인데, 고세균역이 따로 분리되어 나오기 전까지는 5계 체계를 사용했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 고세균역이 따로 떨어져 나온 이후로는

진정세균역 안에 진정세균계, 고세균역 안에 고세균계, 진핵생물역 안에 식물계, 동물계, 균계, 원생생물계를 두어 총 3역 6계 체제로 생물체들이 분류되는 것으로 배웠었습니다. 의문이 들어서 질문을 남기려다가 이미 다른 학생이 해당 사항에 대해서 질문을 남겨 놓은 것을 보았는데, 답변에서 원핵생물계에서 고세균역과 진핵생물역으로 나뉘며 3역이 되었고, 진핵생물역이 다시 4개의 계로 나뉘며 3역 5계라는 답변을 주신 것으로 저는 이해를 했는데요. 제가 잘못 이해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ㅎㅎ... 그렇다면 죄송합니다!

아무튼 제가 알기로는 교수님께서 원핵생물계라고 표현하신 모네라계가 과거에인 하나의 계통으로만 이루어진 줄 알았는데 수업에서 설명해주셨듯 분명히 다른 진정세균과 고세균으로 나뉜다는 것을 미생물학자가 발견했고, 이에 따라 3역 6계 체계를 따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과거에 쓰였던 모네라계는 진정세균과 고세균이라는 서로 다른 2개의 생물 영역을 포함하기에 현재는 계의 수준으로 보지 않고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용어로 알고 있습니다.

결국 현재에는 3역 6계의 체계가 채택되고 있으며, 진정세균역에 진정세균계를, 고세균역에 고세균계를, 진핵생물역에 식물계, 동물계, 균계, 원생생물계를 두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앞서 다른 학생이 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을 제가 잘못 이해한 부분이 있는 것인지, 있다면 어느 부분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할 것 같습니다. 제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이 있을 수도 있는 것이고, 놓치고 있는 부분이 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지려하기보다는 수업 내용 중에 제가 알고 있는 것과 다른 내용을 접하다 보니 혼동이 되어서 질문드리는 것입니다. 부디 교수님께서도 저의 질문에 기분 나빠하시지는 않았으면 합니다. 혹시 읽고 기분이 나쁘셨다면 저의 전달 방식이 미흡해서 그런 것이니 진짜 의도와 마음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좋은 강의 찍어주셔서 감사드리고, 요즘 들어 갑자기 날씨가 추우니 건강 조심하세요!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댓글
0
P*****k 교수님

그래요, 날씨가 많이 추워졌네요, 요즘 같은 시기에는 컨디션 관리가 중요하니, 건강 관리에 유의하면서 열심히 수강하세요~

 

질문 해준 내용은 분류학이 최근에 분자 생물학적인 분석 기술 발달의 도움을 받아서, 외형적인 특성에 근거했던 예전의 한계에서 벗어나, 역동적으로 급변하는 학문이 되어서 그런것 같고요. 이것은 3역의 개념을 최초로 제시하였던 칼 우즈가 수 십년간 이어졌던 5계의 체계를 변화 시킬 수 있었던 근거 이기도 해요.   

 

저 역시도 현재의 교육 과정에서 받아들이고 있는 3역 6계로 공부하여서, 수강하는 학생들에게 고등학교 내용과 동일하게 수업을 진행할까 하는 고민도 있었지만, 3역 6계를 하나로 통칭하지 않고, 3역 체계 언급한 캠벨 생물학 최신판 교재에 최대한 충실하면서, 대학 교육 과정에서는 학생들이 좀 더 현재의 과학계에서 통용되는 발전된 내용을 배워야 한다는 취지로 이 부분이 수록된 내용은 일반생물학 2 (식생분진)의 Chapter 27에서 별도로 강의를 진행하였어요. 그래서 전체의 책을 개괄 하는 1장에서는 기존의 5계의 체계에서 현재의 3역의 체계로 어떻게 넘어오게 되었는지에 집중하여, 제한된 시간 동안 빠르게 표현하다 보니, kingdom monera를 포함한 과거의 5계와 현재의 3역이 묶여서 진행되어서 질문을 준 것 같네요. 

 

얼마나 분류 체계가 역동적으로 변화되는지 간단히 최근 30년의 변화만을 살펴 보자면, 칼 우즈 (Woose)는 1990년에 3 domains (3역)만을 제시하고 그 하부 단위인 kingdom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고요, 1998년의 Cavalier-Smith 는 3 superkingdoms (2 empires)와 8 kingdoms를,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Ruggiero 가 2 superkingdoms 와 7 kingdoms를 제시하고 있어요. 

 

이 책인 캠벨 생물학의 저자들 역시, 최근의 분류학적인 체계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는 경향을 알고 있기에, 어떻게 표현할까 하는 저와 비슷한 고민을 하였는지, 이 부분을 단정해서 3역 6계 (3 domains and 6 kingdoms)라고 표현하지 않고,  12번째 개정판의 첫 번째 장인 Chapter 1에서는 3역만을 언급하면서, 첨부된 교재 파일의 원문에서 `domain Bacteria are the most diverse and widespread prokaryotes and are now classified into multiple kingdoms.`  - 진정 세균역은 가장 다양하고 널리 퍼져있는 원핵 생물로써 다수의 계로 나뉜다. `Domain Archaea includes multiple kingdoms. Some of the prokaryotes known as archaea live in Earth’s extreme environments`-  고세균역은 다수의 계를 포함하고, 고세균역으로 알려진 몇몇 원핵생물은 지구의 극한의 환경에서 생활한다` 라고 하면서 하나의 역에 속하는 계의 숫자가 하나가 아니라는 것만 간단하게 언급하고, 세부적인 내용은 분류학을 다루는 이후의 Chapter 27에서 설명하고 있어요.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일반생물학 2 (식생분진)`의 Chapter 27의 내용을 일부 발췌하자면, 고세균역은  Euryarchaeotes, Thaumarchaeotes, Aigarchaeotes, Crenarchaeotes, Korarchaeotes 이렇게 나뉘게 되고요, 진핵세균역은 ProteobacteriaChlamydiasSpirochetesCyanobacteriaGram-positive bacteria로 나뉘게 됩니다. 사실은 이 역시도 12번째 개정판으로 오면서 기존의 과거 개정판들에 비해서 문의 숫자가 하나씩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여서, 얼마나 분류학이 역동적인 학문인지 실감할 수 있게 하네요.

 

궁금한 것들이 해결되었기를 바라며, 열심히 공부하기를 응원합니다~^^

  • 2022-01-23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