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6강에서 단백질 2차 구조의 수소결합에 관하여 질문 있습니다!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Patrick |
과목 | 일반생물학 | 강좌명 | |
작성자 | 김*섭 (r*********2) | 등록일 | 2021-12-29 22:41 |
6 강에서 단백질 구조의 secondary structure에서 b-pleated sheet형태에서 수소결합이 약하기 때문에 체내 산성농도와 체온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고 설명해 주셨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내용의 필기가 b-pleated sheet형태에서 화살표로 따로 빼서 설명해 주셔서 혼동이 되는데 이런 수소결합의 안정은 a-helix형태와 b-pleated sheet형태 둘 다 필요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진도율이 높던데 성실히 공부하는 모습이 보기 좋네요~
기본적으로 단백질 2차 구조의 두 가지 형태인 알파 나선과 베타 병풍 구조는 폴리펩타드 골격 (polypeptide backbone) 사이의 약한 상호작용인 수소결합에 의존하기에 우리몸의 pH, 체온, 삼투 몰농도등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항상성이 중요하게 작용하게 됩니다. 더나아가 이후의 구조인 3차 구조와 4차 구조 역시 곁사슬 사이와 소단위체 사이에 수소 결합과 같은 약한 상호작용에 의존하기에 단백질의 전반적인 구조를 안정하게 유지함에 있어서, 항상성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어요.
궁금한 점에 말끔하게 해결되었기를 바라며, 지금처럼 열심히 공부하기를 기대해 볼게요~
- 2022-01-01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