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교수님!! 궁금한게 있습니다 ㅜ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양진목 |
과목 | 회로이론 | 강좌명 | |
작성자 | 정*성 (k******2) | 등록일 | 2018-01-24 16:45 |
문과 학생이 전자 공부하고 있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회로이론 1,2를 다 결제하고 수강 하고 있는데 어디가 RLC 직류 부분이고 RLC 교류 부분인지
또한 공진회로에 관한게 몇강인지 궁금합니다ㅜ
그리고 실효값은 회로이론 거의 마지막 부분에 배웠지만 평균값 하고 순시값은 어디서 공부해야 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ㅜ
문과학생이라 아무런 사전지식이 없이 처음에 들었습니다 ㅜㅜ 곧 재시험이 있어 복습을 하려고 하는데 뭐가 뭔지 복잡해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ㅜㅜ...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ㅜ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양진목입니다.
직류, 교류를 회로에 인가되는 전원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지 여부에 따라 나뉘는데요 직류는 전원이 계속 일정한 상수값을 갖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 것은 전부 교류입니다. 그런데 회로이론에서는 좁은 의미에서 정현파를 교류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회로의 구성은 RLC 직류, 교류로 나뉘어 있지는 않습니다. 우선 직류전원이 해석이 간단하므로 회로이론의 앞에서는 직류와 저항으로만 이루어진 회로를 배우게 되는데요 여기서 적용된 해석기법이 뒤의 교류부분에서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그 다음 RL, RC 1차 회로, RLC직렬, 병렬회로(2차 회로)를 다룹니다. 현재 회로이론의 구성은 RLC 직렬, 병렬회로까지는 전원은 직류를 사용하며 RLC회로에 직류가 아닌 전원이 인가된 경우는 전부 라플라스변환을 이용하여 해석합니다.
공진회로는 최근의 회로이론교재에서는 많이 빠져 있고요 대신 뒷부분의 필터부분에서 대역통과필터로 대체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의 강의도 공진회로를 따로 다루지 않고 대역통과필터 위주로 다룹니다. 제 회로이론2 강의의 9강의 [23]주제를 보시면 됩니다.
실효값은 회로이론1 강의의 19강 [48]주제를 보시면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순시치는 단순히 시간함수 f(t)를 의미하구요 평균값은 주기 T인 함수 f(t)를 한 주기에 대해 적분한 것을 다시 T로 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안녕히계세요.
- 2018-01-25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