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회로이론 질문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양진목 |
과목 | 회로이론 | 강좌명 | |
작성자 | 방*호 (b*****7) | 등록일 | 2019-03-21 20:45 |
첨부파일 | |||
안녕하세요 교수님! 교수님의 회로이론 강좌를 듣고 있는 수강생입니다. 먼저, 강의와 관련된 질문이 아니라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리고싶습니다.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이제 학교에서 사용하는 교재의 문제를 풀다가 모르는 부분이 나와서 질문드립니다. 저희 학교 교수님께도 질문을 드렸지만,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라.. 교수님은 다르게 설명해주시지 않을까해서 질문드립니다.
위 회로에서 문제를 풀 때 8옴의 저항과 4옴의 저항을 병렬로해서 합성저항을 구한 뒤, 밑에 있는 (10옴 + 6옴 )|| 2옴 이렇게 합성저항을 구하였습니다. 그렇게 회로를 간단하게 한 뒤에 6옴저항 기준 위 아래 저항을 합성하여 결국 양 옆의 등가저항을 병렬로하여 풀이를 하는 것으로 이해를 하였습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먼저 6옴의 저항을 기준으로 위 아래 저항의 모습을 보면 y-델타 변화모습과 흡사하게 보이는데, 이렇게 생긴 회로의 경우 어떻게 합성저항을 구하는지 궁금합니다. 풀이를 보면서 제가 유추한 바로는 2||6+16/9이렇게 병렬로 합성한 뒤에 합성한 저항이 직렬로 연결 된 것으로 가정하여 문제를 풀이한 것 같습니다. 혹은 2+6||16/9 이렇게 구하여도 답은 같았습니다. 그런데 왜 (2+16/9)||6 이렇게 하면 안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즉, 먼저 병렬로 합성저항을 한 뒤에 그 합성저항이 남은 저항과 직렬로 연결되었다고 풀이한 것 같은데, 그렇다면 직렬로 등가저항을 구한 뒤에 남은 저항과 병렬로 연결되어 합성저항을 구하면 왜 안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궁금한 점은, 위 회로도에서 윗 부분 8옴과 4옴이 병렬연결 되어있어 8||4 이렇게 등가저항을 구하는데, 그렇다면 4||2로 하여 풀이를 하면 왜 안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이렇게 직렬 병렬로 복잡하게 되어있는 회로도에서 아무리 생각해도 잘 되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양진목입니다.
주어진 회로에서 6옴 저항의 주변을 델타-와이변환이 적용되는 구조로 파악하여 해석할 수도 있으나 그냥 직렬-병렬구조로 주어져 있으므로 단순히 회로의 연결 상태를 보기 좋게 바꾸는 것만으로도 전체적인 연결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아마 참고하신 해설도 델타와이변환을 적용하는 대신 그냥 회로의 연결상태를 보기 좋게-직렬, 병렬연결구조가 쉽게 드러나도록-바꾼 것일 겁니다. 우선 직렬연결, 병렬연결구조를 간단히 첨부파일에 소개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주어진 회로를 직렬, 병렬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고쳐 그리는 과정도 첨부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어진 문제에서 저항을 구하는 올바른 방법은 오직 2+6||16/9와 같이 구하는 것입니다.
(2+16/9)||6과 같이 하면 안되는 이유는 2옴과 16/9옴이 직렬연결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즉, 6옴과 16/9옴이 병렬연결이고 이 병렬연결된 전체저항이 2옴과 직렬로 연결된 것입니다.
그리고 4||2로 계산하려면 4옴, 2옴이 병렬연결이어야 하는데 병렬연결이 아니므로 이것도 적용할 수 없습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안녕히계세요.
- 2019-03-27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