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예제15.1/p268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양진목 |
과목 | 회로이론 | 강좌명 | |
작성자 | 조*호 (c******5) | 등록일 | 2024-11-25 11:50 |
첨부파일 | |||
안녕하세요 교수님 예제15.1 문제를 여러가지 방법으로 풀이해보고 있는 도중에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합니다. 전달함수 풀이와 별개로 Vout을 구해보기 위해서 1.라플라스 변환회로, 2.RC미분방정식 방법을 이용해서 풀이를 해봤습니다.
1. 라플라스 변환회로에서 초기값이 필요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v(0)out같은 경우에는 문제에서 따로 조건을 주지는 않았지만 임의로 v(0)out=0을 주고 vin 같은 경우에는 직류(상수)로 생각해서 vin/s로 라플라스 변환하여 풀이를 해봤는데 초기값을 제마음대로 줬다는 것과 Vin을 임의로 DC로 해석해서 줬다는 것에 이질감이 들어서 이런 풀이를 해도 되는 지 궁금합니다.
2. RC 미분방정식도 똑같이 V(0)out의 초기값을 0으로 가정하고 풀었는데 이질감이 들어서 이런 풀이들이 맞게 한 것인지 질문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양진목입니다.
1. 전달함수는 그 정의상 회로의 모든 초기조건은 0으로 두기 때문에 v(0)out=0으로 두는 것이 맞습니다. 그런데 입력은 그 구체적인 식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직류로 가정해서 vin/s로 쓰면 틀립니다. 그냥 시간영역함수 vin(t)의 라플라스함수 Vin(s)로 쓰는 것이 맞습니다.(즉, 시간영역, s영역을 구분해서 표현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2. 해당 문제는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회로의 소자값을 정하는 것인데요 이때 초기값은 중요하지 않고 전달함수만으로 충분합니다. 그리고 문제에서 주어진 상황만으로는 초기값을 구하는 것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전달함수를 이용한 풀이를 그냥 시간영역에서 푼다고 생각하면 전달함수의 정의대로 초기값을 0으로 두고 푸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안녕히계세요.
- 2024-11-26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