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22] 테브넌...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양진목 |
과목 | 회로이론 | 강좌명 | |
작성자 | 장*영 (l************8) | 등록일 | 2024-04-19 06:26 |
교수님 안녕하세요!
4장에서 [22]에 테브넌 등가회로를 만드는 방법부분에 4가지중에 `개방전압-test전원법`부분에서
test전원법에서 Rth(Thevenin Resistance) = V_T/I_T라고 되있는데요 이 부분에서 질문입니다.
뭐 일반적으로는 종속전원과 독립전원 둘 다 있고 저항으로 이렇게 회로가 구성되있을텐데요
만약에 애초에 독립전원과 저항으로만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면 `개방전압-test전원법` 방법을 쓰는 경우 Rth의 의미가 두 단자에서 바라본 합성저항이 맞는지요?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양*목
교수님
안녕하세요. 양진목입니다.
네, 맞습니다. 그런데 종속전원이 유무와 관계 없이 Rth는 두 단자에 바라본 합성저항입니다.
그래서 독립전원만 있으면 델타와이변환, 직병렬 등가저항계산법 등으로 등가저항을 구하면 되고
종속전원이 있으면 (독립전원을 제거하여도 종속전원은 남아 있으므로) 대부분의 경우 회로방정식을 세워서 풀어야 V_T/I_T의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안녕히계세요.
- 2024-04-20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