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구조가 잡히는 일반화학2] 기출문제 18강 명명법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조성민 |
과목 | 일반화학 | 강좌명 | |
작성자 | 이*환 (p*******9) | 등록일 | 2024-08-06 22:13 |
안녕하세요 교수님 일반화학2 강의 18강 수강하다가 헷갈리는 점이 있어서 글 남기게 되었습니다. 1. 18강 33분 40초 부근에서 [Co(NH3)5Cl]Cl2의 명명법이 왜 Pentaammine chloro cobalt(III) chloride인지 모르겠습니다. 리간드는 수 접두사를 써줘야 하니까 Pentaammine monochloro cobalt(III) chloride이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2. 또한 반대 이온(위의 경우에는 Cl)의 수에 의해 금속 이온이 몇 가인지도 변할 수 있을 것 같은데(위에서는 Cl2가 Cl이 되면 cobalt(III)는 coblt(II)가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반대 이온은 수 접두사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Cr(NH3)6]Cl3나 [Cr(H2O)6]Cl2만 해도 반대이온의 수에 의해 Chromium(III)와 Chromium(II)로 다른데 반대 이온에는 수 접두사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1. mono 는 1을 뜻하는 숫자이지요. 일반적으로 생략하여 표현합니다.
2. 반대 이온은 이미 금속의 전하량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화합물 전체가 중성이 되게 맞춰 주시면 됩니다.
[Cr(NH3)6]Cl3 : 크로뮴이 이미 3가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반대 이온은 3개가 필요하지요.
[Cr(H2O)6]Cl2 : 크로뮴이 2가이므로 역시 반대 이온은 2개가 필요하네요.
즉 중심 금속 이온의 산화수를 먼저 알기에 반대 이온의 수를 예상할 수 있답니다.^^
- 2024-08-11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