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학습 Q&A

강의 내용 궁금증! 교수님이 직접 답변 드립니다.

  • 홈
  • 교수소개
  • 자연계열
  • 조성민 교수님
  • 학습 Q&A

Q&A 메뉴.png

※ 유의사항
강의에 나오지 않는 내용에 대한 풀이나 해설은 답변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학습과 무관한 내용 및 비방/욕설 등 게시판 성격과 무관한 내용은 사전 고지없이 삭제됩니다.
답변 완료된 게시글은 수정 및 삭제 불가합니다.

chemisty_03.png

게시판 글보기
제목 답변완료 용해도 계산 부분이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습니다.
질문유형 강좌내용 교수님 조성민
과목 일반화학 강좌명
작성자 이*훈 (l*******6) 등록일 2024-08-02 16:53

일반화학 교재 기출 171에서 교수님께서 설명하신 것처럼 KIO3에서의 IO3-가 차지하는 비율이 계산해보았을 때 더 커서 문제가 안되는데, 기출 175번같은 경우 강물의 pH가 6이어서 OH-의 농도는 10^-8이 됩니다. 그런데 이 농도를 가지고 용해도 곱을 계산하면 Fe2+의 농도가 1.64x10^2나 나오는데 그러면 물에서의 OH 농도를 용해도 곱의 식에 사용하는게 아니라 [Fe2+] = s 라 할 때 ksp = s•(2s)^2으로 표현해댜 하는 것 아닌가요?

기출 171과 기출 175은 다른 상황인 것 아닌가요?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댓글
0
조*민 교수님

[Fe2+] = s 라 할 때 ksp = s•(2s)^2으로 표현해댜 하는 것 아닌가요?

 

아닙니다.^^  정훈 학생이 제시한 식은 순수한 물에서의 용해도를 구하는 방법이예요. 

강물은 거대하고 수산화 이온의 농도는 수산화철이 용해된다고 변화하지 거의 변화하지 않아요.

염기성인 수산화철은 약한 산성 조건에서도 용해도가 매우 크게 증가하는 거죠!

  • 2024-08-05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