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친핵체 영향부분 편극성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조성민 |
과목 | 유기화학 | 강좌명 | |
작성자 | 양*영 (t******x) | 등록일 | 2023-12-10 15:49 |
수소결합이 불가능한 극성용매에 있을때 원자의 크기가 커질수록 편극성이 커지므로 음이온일때 더 안정해서 크기가 작을수록 반응이 더 잘된다고 하셨는데,
극성용매에 있을때에는 I-의 경우가 편극성이 더 커서 전자를 떼기 쉽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이는 서로 반대되는 설명 아닌가요? (F-가 I-보다 비편재화에 의해 불안정하고 아이오딘이 전자 떼기 더 쉬움, 하지만 I와 F중 H가 들어갔을때 F가 먼저 반응한다는건 F가 전자를 잃기 더 쉽다는 것?)
편극성이 커서 더 안정할 경우 그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지않나요?
즉, 비편재화의 영향이 가리움 효과와 전기음성도의 효과보다 강한가요?
추가질문으로, 유기화학에서 13장에 해당하는 질량분석법 파트 강의는 없나요?? 학교강의에서는 꽤 중요한 파트였던거같은데 따로 어떻게 공부할지 모르겠습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원영 학생
친핵성에 대하여 질문해 주셨네요.
일단 원영 학생이 질문하는 강좌가 몇강 어느 시각에 있던 부분인지 알려주면 고맙겠어요.^^;;
현재 질문의 의도를 잘 파악하기 힘드네요.(이온과 분자의 표현이 섞여 있기도 하고, 전자를 뗀다는 것이 무엇을 말하는지도.....^^)
지금 나와있는 문구로만 제가 해석했을 때는 아이오딘화 이온과 플루오린화 이온에 대한 친핵성을 말한다면, 용매에 따라 변화합니다.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에서는 용매화가 크지 않으므로, 염기도에 비례해서 플루오린화 이온의 친핵성이 더 클 수 있어요.
하지만 극성 양성자성 용매에서는 편극성이 더 큰 아이오딘화 이온의 친핵성이 더 크겠네요.
그리고, 질량 분석법과 같은 분석 화학 분야는 제가 따로 녹화를 하지 못했네요. 향후 계획 중입니다.
공부법은 질량 분석기의 구조와 검출 원리를 이해하셔야 하구요. 질량 분석법에서 라디컬 양이온 형성에서 분자의 분해 현상에 대하여도 이해하셔야 합니다.
무엇보다도 질량 분석 차트를 보고 분자에 대한 예측을 하실 수 있어야 합니다.
- 2023-12-11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