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37강 알카인 명명법, 38강 질문드립니다.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조성민 |
과목 | 유기화학 | 강좌명 | |
작성자 | 양*영 (t******x) | 등록일 | 2023-11-21 15:47 |
교수님께서 들어주신 예제들중 3번째 경우에 11-Methyl-2,5,12-tetradecaatriene이라고 하셨는데
주어진 구조는 이중결합 2개 삼중 1개여서 11-Methyl-tetradeca-5,12-dien-2-yne 이 아닌가요??
그리고 38강에서 알카인이 s특성이 커서 전자부족체라고 하셨는데,
알카인이나 알켄은 파이결합으로 인해 친핵체로 보통 작용하지 않나요??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1. 교수님께서 들어주신 예제들중 3번째 경우에 11-Methyl-2,5,12-tetradecaatriene이라고 하셨는데
주어진 구조는 이중결합 2개 삼중 1개여서 11-Methyl-tetradeca-5,12-dien-2-yne 이 아닌가요??
- 네 삼중결합이 있으므로 알카인의 명명까지 포함한 게 맞습니다. 강의에 수정 자막을 요청하도록 하겠습니다.
2.그리고 38강에서 알카인이 s특성이 커서 전자부족체라고 하셨는데,
알카인이나 알켄은 파이결합으로 인해 친핵체로 보통 작용하지 않나요??
- 수업 중 어느 부분에 대한 내용인지 잘 모르겠는데, 아마도 트랜스 알켄을 만드는 알카인의 환원에 대한 질문으로 생각하고 답변을 드리자면, 알카인은 양쪽성 물질이라고 할 수 있지요.
즉, 할로젠화수소와 같은 화합물과 첨가 반응을 할 때는 원영 학생의 말대로 전자를 주는 역할을 해요. 하지만, 리튬과 같이 이온화 에너지가 작은 금속과 반응한다면 그 때는 전자를 받는 친전자체 역할을 할 수 있죠.
어느 물질과 반응하는가에 따라 친전자체와 친핵체의 역할을 변화할 수 있어요.
- 2023-11-30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