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일반물리학] Serway 대학물리학 2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이정욱 |
과목 | 일반물리학 | 강좌명 | |
작성자 | 박*현 (p********7) | 등록일 | 2022-08-28 18:26 |
1. 거울에서 상을 찾기 위해 2개의 광선의 경로만 찾으면 된다고 하셨는데 왜 그런가요? (만약 실상이 맺힌다면) 2개의 광선이 만나는 곳에 다른 모든 광선도 모두 만난다는 것이 의심스럽습니다.
2. 식 35.4는 식 35.6과 다르게 근축광선뿐만 아니라 모든 광선에 대해 성립하는 식인가요? (식 35.4가 유도되는 과정을 보면 근축근사가 쓰이지 않아 보이기 때문입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네~ 질문 감사합니다.^^
1. 근축광선에 대해서는 초점이 동일합니다. 물론 이또한 기하학적 근사법이지요!
그에 앞서,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반사는 정반사 입니다. 즉, 거울과 상이 일대일 대응 되는 상황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광원에 의한 상의 위치는 임의의 두 광선으로도 추적이 가능합니다만, 실제 근사적인 식으로 접급해보아도 이 결과를 동일하게 얻을 수 있습니다.
의심스럽다면 직접 그려보면 됩니다. 강의 영상에 있는 그림을 이용해서 직접 작도 한번 해보심을 제안합니다.
2. 앞선 질문과 동일한 내용입니다만...초점거리에서 이미 근축근사가 사용되어 있는 식이고...
초점의 정의를 무한히 멀리 떨어진 광원의 상이 맺히는 곳이라고 하면 두 식이 동일함을 보일 수 있습니다.
기회가 되어 기하 광학 전공 과정을 다루게 되면 조금 더 엄밀한 근사법을 배우시게 됩니다.^^
- 2022-09-05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