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회로이론(상) - 복소전력 질문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양진목 |
과목 | 회로이론 | 강좌명 | |
작성자 | 이*혁 (o******v) | 등록일 | 2022-08-21 01:17 |
첨부파일 | |||
안녕하세요. 사진으로 첨부한 교재의 (1)번 설명에서, 복소 전력도 수동부호규정을 따른다고 나오는데, 이 부분이 잘 이해가 안됩니다.
수동부호규정을 따르는 명확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양*목
교수님
안녕하세요. 양진목입니다.
복소전력은 전력계산의 편의를 위해 도입한 복소수이므로 흡수, 공급여부를 판단할 때 인위적으로 기준을 세워서 적용할 수도 있지만 복소전력의 실수부(평균전력)는 실제 물리적인 양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시간영역에서 전력의 흡수공급여부를 판단하는데 적용되는 수동부호규정을 복소전력에도 동일하게 적용해야 그 실수부(평균전력)의 흡수공급여부가 시간영역과 일치하게 됩니다.
(교재 145p 그림1의 단자전압, 단자전류가 수동부호규정을 만족하도록 잡혀 있는데요 이 상태에서의 순간전력 p(t)는 수동부호규정에 의해 흡수전력이고 이에따라 평균전력 역시 흡수전력이므로 이를 바탕으로 추가적으로 유도된 무효전력, 복소전력 역시 수동부호규정을 따른다고 정하는 것이 자연스럽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안녕히계세요.
- 2022-08-23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