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일반화학 궤도 함수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조성민 |
과목 | 일반화학 | 강좌명 | |
작성자 | 배*진 (3*********6) | 등록일 | 2022-02-22 14:43 |
교수님 안녕하세요 늘 열심히 강의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궁금한 점이 있어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궤도함수에 대해 배우면서 글을 천천히 읽어보니 양자수가 수소에 대한 슈에딩거 방정식을 푼 해 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1. 그럼 궤도함수나 양자수, 각운동량 양자수, 오비탈까지, 지금까지 배운게 다 수소에 대한 이야기 인가요? 수소가 아니면 적용되지 않는 개념인가요?
2. 만약 궤도함수, 양자수, 각 운동량 양자수, 오비탈, 스핀양자수 들이, 모든 원자에도 적용되는 개념이라면, pauli의 배타원리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이 원리에서 보면 궤도함수는 오직 두개의 전자만을 수용할 수 있다고 하는데, 왜 그런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궤도함수라는 것이 양자수에 대해 결정되는 것 아닙니까?
늘 감사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1. 그럼 궤도함수나 양자수, 각운동량 양자수, 오비탈까지, 지금까지 배운게 다 수소에 대한 이야기 인가요? 수소가 아니면 적용되지 않는 개념인가요?
--> 수소로부터 비롯되었다고 볼 수는 있겠지만, 모든 원자에 적용되는 개념입니다.
2. 만약 궤도함수, 양자수, 각 운동량 양자수, 오비탈, 스핀양자수 들이, 모든 원자에도 적용되는 개념이라면, pauli의 배타원리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이 원리에서 보면 궤도함수는 오직 두개의 전자만을 수용할 수 있다고 하는데, 왜 그런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궤도함수라는 것이 양자수에 대해 결정되는 것 아닙니까?
--> 네. 파동 방정식의 해와 관계없는 양자수가 스핀양자수입니다. 그래서 파울리는 궤도함수당 최대 2개의 전자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구했구요.
- 2022-03-03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