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5강 46:00, 6강 12:20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조성민 |
과목 | 유기화학 | 강좌명 | |
작성자 | 손*승 (s*******8) | 등록일 | 2024-03-19 21:35 |
안녕하세요 선생님 오늘도 열공 하고 있습니다. 또 아기같은 기초 질문을 해야해서 부끄럽긴 한데요..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오늘도 열공입니다. 화이팅!!
공명의 예시를 설명 하실 때 C N 사이엔 파이 결합이라고 하셨습니다. 왜 파이 결합인가요?
시그마인지 파이인지 알아보려면 어떻게 하신건지 잘 모르겠습니다.제가 아는건 정면겹칩과 측면겹침 뿐인데 ㅜ 설명해주시면 감사합니다
--> 탄소와 질소 사이에 단일결합만 형성하면 옥텟 규칙을 만족할 수 없어요. 이중결합이나 삼중결합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다중결합 중 반드시 하나는 시그마 결합이고, 나머지는 파이 결합이예요.^^
22p (2)의 4번 예시를 설명 하실 때, N에 먼저 +를 하신게 원래는 결합줄이 4개라서 전자가 하나 남아야 하지만, 전자를 지워버리고 임의로 +라고 쓰신게 맞나요? 아니면 5-4로 바로.. +1 로 넘어가신건가요 !?
그리고, 다른구조로 바꿔가는 과정에서첫번째 이중결합에서 질소에 전자 한쌍(전자두개)를 주면서
질소의 형식전하가 왜 2개(최외각갯수) 가 되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한 번 바뀐 구조가 처음에 주어졌다면 질소에 결합이 3개가 있으니 최외각에 2개가 살아남았다고 이해되었을 것 같은데)
+ 에 전자 두개를 주면 -1 이 되어야 하는게 아닌가요 ..?
--> 4번 예시에 질소의 결합수가 4가 되죠? 질소는 원래 결합수가 3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비공유 전자쌍이 1개 있어서 옥텟을 만족해요.
그런데 4개의 결합을 갖고 있다는 건, 질소로부터 전자쌍 하나가 다른 원자에게 제공되었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러므로 형식전하는 5-4가 되어서 +1이 되어요.
그리고, 2번째의 공명 구조로 가면서 질소의 이중결합중에 하나의 결합이 질소의 비공유 전자쌍이 되죠? 그렇다면 질소의 결합수는 3이 되고, 형식 전하는 0이 됩니다.
- 2024-03-20
- 2024-12-12 수정